Surprise Me!

[출근길 인터뷰] 디지털 비석으로 되살아난 '광개토대왕릉비'

2024-01-31 6 Dailymotion

[출근길 인터뷰] 디지털 비석으로 되살아난 '광개토대왕릉비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리나라 역사 중에 가장 강력한 국력을 자랑했던 국가를 꼽는다면, 어디를 꼽으시겠어요?<br /><br />"만주벌판 달려라 광개토대왕~ ♬" 고구려 아닐까요?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광활한 영토를 통치했던 고구려를 떠올리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.<br /><br />중국 지안시에 있는 광개토대왕릉비를 디지털로 재현했다고 합니다.<br /><br />뉴스캐스터 연결해 만나 보겠습니다.<br /><br />신제인 캐스터.<br /><br />뒤에 광개토대왕비가 엄청난데요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저는 지금 국립중앙박물관에 나와 있습니다. 이렇게 웅장한 모습의 광개토대왕릉비와 관련한 이야기를 듣기 위해서인데요.<br /><br />이태희 학예연구관과 함께합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이태희 /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]<br /><br />안녕하세요, 이태희입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이렇게 웅장한 비석이 저는 교과서에서 사진으로만 봤던 것 같은데요. 어떤 건지 자세히 소개해 주시죠.<br /><br />[이태희 /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]<br /><br />지금 보시는 것은 디지털 영상 기술로 복원한 고구려 광개토대왕릉비입니다.<br /><br />다들 아시겠습니다만 광개토대왕릉비는 414년 고구려 장수왕이 아버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입니다.<br /><br />지금 오늘날 중국 지린성 지안시에 있습니다.<br /><br />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는 그곳에 있는 높이 6.4m의 광개토대왕릉비를 실제 크기 그대로 그리고 표면의 질감과 비문까지 똑같은 모습으로 복원함으로써 실물의 감동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조성한 영상 작품입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이 광개토대왕릉비를 이렇게 디지털로 구현한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?<br /><br />[이태희 /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]<br /><br />아무래도 국외에 있다 보니 직접 가서 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.<br /><br />또한 박물관 입장에서도 광개토대왕릉비 없이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를 설명하는 것은 어렵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디지털 영상 기술로 광개토대왕릉비를 복원함으로써 박물관의 전시와 유적을 연결하여 박물관을 찾는 내외국인분들께 우리 고구려의 참모습을 오롯이 보여드리고자 준비하게 되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자세히 보다 보면 글씨도 보이는데요.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소개해 주시죠.<br /><br />[이태희 /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]<br /><br />광개토대왕릉비의 내면에는 총 1,775자가 새겨져 있습니다. 광개토대왕과 고구려 역사에 관한 여러 내용이 있는데요.<br /><br />고구려의 건국 설화부터 광개토대왕의 직위와 사망 그리고 무덤의 조성과 비석의 건립 이야기 또 백제를 물리치고 신라를 구원하거나 북부여 일대 오늘 만주 지역으로 영토를 확장한 이야기 그리고 광개토대왕이 정한 왕릉 관리 규정인 수묘인 제도 등 옛 역사책에서도 볼 수 없는 고구려의 역사와 광개토대왕의 업적이 자세하게 또 생생하게 담겨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또 이번에 원석 탁본도 공개하셨다고 들었는데요. 맞나요?<br /><br />[이태희 /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]<br /><br />맞습니다. 원석 탁본은 비석 표면에 석회를 바르기 전에 떴던 탁본을 말합니다.<br /><br />원형을 더 잘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의 판독과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는데요.<br /><br />이번에 공개한 원석 탁본은 금속학의 대가이자 한학자이신 청명 임창순 선생께서 소장했던 것입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청명본이라고도 불리는데요. 여기에는 1889년 북경의 탁본 전문가가 제작했다는 기록이 함께 남아 있습니다.<br /><br />국립중앙박물관은 지난해 이 원석 탁본을 구입했고요. 그리고 뒤에 디지털 복원작업을 추진해 이번에 함께 선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이 디지털 비석을 보러 관람객들은 많이 오고 계신가요? 반응은 어떤지 궁금한데요.<br /><br />[이태희 /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]<br /><br />사실 선보인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많은 분들이 좋아하십니다.<br /><br />광개토대왕릉비의 실물 크기에 놀라시는 분도 계시고 특히 학생들 같은 경우에는 교과서에서 본 유물을 여기 와서 실제 확인을 하면서 기뻐하기도 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마지막 질문입니다. 현시점에서 국립중앙박물관이 고구려 역사에 주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.<br /><br />[이태희 /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]<br /><br />국립중앙박물관은 우리 역사와 문화를 국내에 선보이는 대표기관입니다.<br /><br />그러나 고구려의 경우 중심지가 오늘날 중국과 북한에 있었던 까닭에 신라나 백제, 가야에 비해서 전시품이 많지 않아 좀 아쉬움이 있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지금까지 국내에서 축적된 조사 연구 결과와 그리고 여기에 최신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전시품을 확대하고 또 유적과 연결을 확장함으로써 고구려의 역사 문화를 폭넓고 깊이 있게 전달하고자 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오늘 말씀 고맙습니다.<br /><br />[이태희 /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]<br /><br />감사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우리 문화와 역사를 만나러 이곳 국립중앙박물관에 한번 와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(신제인 캐스터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